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로봇&과학26

톡! 튀는 정전기의 비밀 - 정전기볼 만들기 실험 톡! 튀는 정전기의 비밀 - 정전기볼 만들기 실험 오늘은 아이들과 정전기에 대해 알아보고정전기 볼 만들기 실험을 해보려고 합니다. 건조한 날에 사물이나 사람에게 손을 가까이 댈 때,앗 따가워!! 찌릿한 느낌을 받은 경험이 있나요?이러한 현상을 '정전기'라고 합니다. 정전기는 전하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물체가 서로 접촉하거나 마찰할 때, **전자(electron)**가 한쪽으로 이동하면서 한 물체는 **음전하(-)**를, 다른 물체는 **양전하(+)**를 띠게 됩니다. 이렇게 전하가 쌓이면 '정전기'가 형성됩니다. 정전기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 1. 마찰(Friction)서로 다른 물질이 마찰하면 전자가 이동하면서 한쪽은 음전하를, 다른 쪽은 양전하를 띠게 됩니다.예: 플라스.. 2025. 6. 7.
공기정화식물의 공기정화 원리와 공기정화식물의 종류 생활과학공기정화식물 공기정화 식물이란 주변 공기의 질을 개선하고 독성 물질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식물들입니다. NASA의 연구에 따르면 일부 식물은 공기 중의 유해 물질을 흡수하여 실내 환경을 더 건강하게 만드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이러한 식물들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할 뿐만 아니라 포름알데히드, 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 같은 화학물질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식물이 공기를 정화하는 원리는 크게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광합성과 오염 물질 제거입니다.광합성: 식물은 광합성 과정을 통해 이산화탄소(CO2)를 흡수하고 산소(O2)를 방출합니다. 빛, 물, 그리고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포도당 같은 에너지원과 산소를 생성하는데, 이 과정은 우리가 숨 쉬는 공기를 깨끗하.. 2025. 5. 1.
토피어리_잔디인형 만들기 토피어리_잔디인형 만들기 토피어리란? 토피어리(Topiary)는 나무나 관목을 다듬어 동물, 사람, 기하학적 형태 등의 모양으로 만든 정원 예술을 말합니다. 이 기법은 나무를 잘라내고 조각하여 다양한 형태를 만드는 방식으로, 정원 장식 및 조경 디자인에서 많이 사용됩니다.대표적인 토피어리 작품으로는 동물 모양, 탑, 구체, 나선형 등이 있으며, 창의력과 기술을 발휘하여 다양한 형태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예술 형태는 고대 로마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지금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겨울방학 특강 수업으로 삼원과학에서 토피어리 재료를 구입해서 수업을 진행했습니다.우선 완성 못한 학생들을 위해 재료, 만드는 방법을 안내하려고 합니다. 토피어리 만들기 ▶ 재료 필요한 재료: 그물.. 2025. 2. 14.
토요 과학실험_이오난사_나만의 테라리움 학습목표: 공기정화 식물인 이오난사에 대해 알아봅니다. 공기 정화란 무엇일까요?"미세먼지"하면 무엇이 생각나나요? 미세먼지란? 단어의 뜻처럼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크기가 매우 작기때문에 미세먼지라고 합니다.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우리 몸을 해치는중요한 원인이 됩니다. 미세먼지 - 지름이 10㎛ 이하인 먼지(PM-10)머리카락 굵기의 1/7- 먼지, 꽃가루, 곰팡이 등초미세먼지 입자- 지름이 2.5㎛ 이하인 먼지(PM-2.5)머리카락 굵기의 1/30- 연소입자, 유기화합물, 금속 등  미세먼지는 왜 위험할까요?공기는 코와 입을 통해 폐로 들어갑니다. 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 초미세먼지가우리 몸속으로 들어가게 되면우리 몸속의 면역세포가 이를 적으로 생각하고인터루킨이라는 물질이 나오게 되어미세먼.. 2024. 12. 7.
동충하초 효능_동충하초란 무엇일까요? 동충하초 키우기 동충하초 왠지 이름 자체만으로건강한 식재료의 느낌이 드는동충하초 이 버섯의 존재의 의미를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동충하초란? 동충하초(冬蟲夏草)는 한자풀이로 겨울에는 벌레, 여름에는 풀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동충하초는 곤충을 숙주로 삼는 일종의균류에 해당하는 버섯입니다.이 버섯의 포자가 바람을 타고 날아가살아있거나 죽어있는 벌레에 자리를 잡으면그 벌레를 숙주로 기생하는 것입니다. 동충하초는 약재로도 많이 사용이 되며옛날 중국에서 진시황과 양귀비도 이를 즐겨 먹었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버섯은 스스로 양분을 만들지 못합니다.그래서 낙엽이나 죽은 동물에 붙어서그 양분을 먹고 자라게 됩니다. 동충하초는 다른 버섯과는 다르게벌레의 몸에 붙어서 자랍니다. 동충하초에 감염된 동물은점점 죽어가게 됩니다... 2024. 11. 26.
뇌 이야기_뇌 역할 뇌 이야기_뇌의 역할 우리 몸의 자극에서 반응까지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뇌 뇌의 발달에 따라 성격도 취향도 달라진다고 합니다. 뇌는 체중의 2% 정도밖에 차지하지 않지만 몸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에 관여합니다. 일할 때, 먹을 때, 운동할 때, 잠을 잘 때도 쉬지 않고 뇌는 움직입니다. 뇌는 천억 개 이상의 신경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중추 신경계 뇌와 척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뇌는 행동을 결정하고 명령을 내리는 역할을 합니다. 척수는 말초신경으로부터 받은 자극을 뇌에 전달하고, 뇌의 명령을 말초 신경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 말초 신경계 말초신경계는 온몸에 분포가 되어 있으며, 눈, 코, 입, 귀 등 몸에서 받은 자극을 중추신경계에 전달하고, 중추 신경계에서 받은 명령을 몸에 전달하는 역할을 .. 2024. 11. 15.
분자요리 분자요리  분자요리란? 분자요리, 또는 Molecular Gastronomy은 음식과 화학, 물리학의 교차점에서 시작된 혁신적인 요리 방법입니다이는 음식의 구조와 맛을 혁신적으로 변형해서 새로운 맛과 식감으로 만들게 됩니다.    일반 요리는 재료를 굽고 조리하는 과정에서 음식재료의 분자 배열이 바뀌며 고유의 맛과 향도 변하거나 사라집니다. 하지만 분자요리는 원재료의 맛과 향을 가장 잘 전달하면서 모양 또한 요리사의 마음대로 만들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예를 들어 사과와 알긴산나트륨, 염화칼슘으로 캐비어 모양 사과 디저트를 만듭니다. 또한 85℃ 이상의 온도에서 깻잎을 익히면 아삭한 식감이 사라지지만 83℃로 요리하면 식감을 그대로 살릴 수 있습니다. 이렇게 요리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디테.. 2024. 10. 21.
아인슈타인 이야기 아인슈타인 이야기 이 이야기의 시작은 아인슈타인의 어린 시절로 돌아갑니다.  아인슈타인은 1879년 3월 14일 독일의 바덴 뷔르템베르크 주의 울름에서 유대인으로 태어났습니다.아인슈타인은 9살이 되어서야 글을 깨우칠 정도로 발육이 늦었지만 남다른 호기심이 풍부했던 어린 시절 수학과 물리학에 놀라운 재능을 보였다고 합니다.전기 부속품을 판매하는 사업가인 아버지와 피아니스트인 어머니의 영향으로 어린 시절부터 자연과학과 음악에 관심을 보였습니다.     나침반   특정분야에는 천재성을 보였지만 조용하고 남다른 성향을 가진 아인슈타인은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했습니다.혼자 지내는 아인슈타인에게 아버지는 나침반을 사주셨고, 북쪽을 가르키고 있는 나침반 바늘을 보며 신기한 마음이 들었던 아인슈타인의 과학적 호기심을.. 2024. 6. 7.
불꽃놀이_연소 『 연소 』》 연소란?어떤 물질이 빛과 열을 내면서 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불이 붙어 타는 것을 모두 총칭합니다. 》 연소의 세 가지 조건연소의 세 가지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연료(탈물질): 연소 반응에 참여하는 물질로, 일반적으로 공기 중에서 산소와 반응합니다. 2. 산소: 물질이 타기 위해서는 공기 중의 산소가 공급되어야 합니다. 3. 열(발화점): 연소 반응을 시작하고 유지하는 열이 필요합니다. 발화점에 도달해야 물질이 불에 타게 됩니다. 이 세 가지 요소가 함께 작용하여 불꽃이 타오르고, 빛과 열을 발생시킵니다. 》 소화란?연소의 반대 개념으로 불을 끄는 것을 말합니다. 소화를 하기 위해서는 연소의 세 가지 조건 중 하나를 제거하면 됩니다. 온도를 낮추거나 산소를 차단시키고 탈 .. 2024. 5. 15.
계영배_가득 차지 않는 잔(사이펀 원리) 계영배_가득 차지 않는 잔 (사이펀 원리)『 계영배의 유래 』‘가득 참을 경계하는 잔’ 중국에서의 유래 고대 중국에서 과한 욕심을 경계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늘에 제를 지내 비밀리에 만들어진 의기(儀器)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합니다. 자료에 의하면 공자가 노나라 환공의 사당을 찾았을 때 생전의 환공이 늘 곁에 두고 보면서 스스로 과욕을 경계하기 위해 사용했던 의기를 보았다고 합니다. 이 의기의 밑에는 구멍이 분명히 뚫려 있는데도 불구하고 물이나 술을 어느 정도 부어도 전혀 새지 않았다가 7할 이상 채우게 되면 밑 구명으로 새어나가게 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환공은 이를 늘 곁에 두고 보는 그릇이라 하여 '유좌지기'(宥坐之器)라고 불렀고 공자도 이를 본받아 항상 곁에 두고 스스로를 가다듬으며 과욕과 지나침을 경.. 2024. 5. 15.
전자신호등-실험과학 1. 신호등이란?안전한 교통질서를 위하여 색으로 교통조건을 나타내는 기구를 신호기라고 하며, 신호등은 신호기의 한 종류에 속합니다.신호등으로 표시하는 색은 빨강·초록·오렌지색의 3가지이며 빛깔에 따라 지시하는 내용이 다릅니다. 대개 빨간색은 정지, 초록색은 진행, 오렌지색은 주의로 표시됩니다. 원래는 빨강 ·파랑 ·노랑으로 되어 있으나, 광원(光源)인 전구의 불빛이 주황빛을 가지고 있어 색유리를 투과하는 과정에서 노란색은 오렌지색으로, 파란색은 초록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철도의 운전규정에는 이를 빨간색·초록색·오렌지색으로 규정해 놓고 있습니다.  2. LED(발광다이오드)전류가 흐르면 빛을 방출하는 다이오드의 한 종류   1) 반도체 칩이 핵심역할LED는 기존의 전구 필라멘트가 가열되며 얻어지는 빛과는 .. 2024. 5. 14.
필름통 건전지 만들기 필름통 건전지 만들기      ※ 무엇이 필요할 가요?                      활성탄, 소금, 필름통, 집게전선, 활핀, 알루미늄호일, 물휴지, 비커   수업목표-건전지의 원리와 전해질에 대해 알아보기- 직렬연결, 병렬연결 알아보기- 정전기 알아보기 1. 원리숯 건전지는 알루미늄 호일이 (-) 극, 숯이 (+) 극으로 작용하는 일종의 화학건전지입니다.먼저 알루미늄호일이  이온으로 되면서 전자를 방출합니다.알루미늄이 양이온이 되면서 생긴 전자는 도선을 통해 (+) 극인 숯으로 이동하여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방출된 전자는 소금물에 녹아들어 가게 되는데, 숯 건전지를 여러 시간 사용한 다음, 숯에 감겨있는 알루미늄 호일을 벗겨 빛에 잘 비추어보면 무수히 뚫려있는 아주 작은 구멍으로 인하여 너덜.. 2024. 5. 13.
728x90
반응형